구출장안마는 최초로 고려 초기의 대구지역은 수성군(壽城郡)·대구현·해안현(解顔縣)으로 나누어져, 수성군이 대구현을 영속하고 있었고, 해안현은 장산군(獐山郡)의 영현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1018년(현종 9)의 전국적인 군현 개편과정에서 수성군과 해안현은 동경(東京)의 속군·속현이 되었고, 대구현은 경산부(京山府)의 14속현의 하나로 편입되었다. 그 뒤 약 1세기가 지난 1143년(인종 21) 대구현이 현령관으로 승격되어 점차 그 지위를 다시 인정받게 되었다. 12세기에 무신의 난이 일어난 뒤 대구 부근의 청도·밀양·경주 등지에서 민란이 빈발하자, 대구는 이를 진압하기 위한 군사활동의 근거지가 되었다. 몽골침입기에는 팔공산 대구출장안마와 부인사(符仁寺)가 대장경판과 더불어 소실되는 피해를 입었으며, 몽고의 제5차 침입 때는 대구지역 주민들이 공산성(公山城)에 입보(入保)해 끝까지 저항하는 항몽투쟁을 전개하기도 했다. 고려 말 왜구의 약탈이 자행되면서 낙동강·금호강으로 바다와 연결된 대구도 두세 차례의 약탈 피해를 입었다.
조선 건국 후 비옥한 평야지대를 끼고 있는 대구는 농업의 중심지로서 가구수가 증가하고 점차 거읍(巨邑)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1394년(태조 3) 대구현이 수성현과 해안현을 영속하게 되었고, 1419년(세종 1) 대구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466년(세조 12) 마침내 도호부가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그 뒤 영남 내륙교통의 요지로서, 또 진관체제(鎭管體制) 대구출장마사지의 하의 용양위(龍驤衛)의 중부가 설치된 군사적 중심지로서 중요성을 지니게 된 대구는 서거정(徐居正)과 같은 문장가와 정치가를 배출했으며, 많은 학자·문인이 나와 영남학파의 일원이 되었다.